위 (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魏)는 주 무왕의 동생인 필공 고의 후손들이 세운 나라로, 춘추 시대에 진나라에 귀속되었다가 전국 시대에 한, 조와 함께 독립하여 칠웅 중 하나가 되었다. 위 문후 때 국력이 강성해졌으나, 위 혜왕 시기에 마릉 전투에서 패배하고 상앙의 변법으로 강성해진 진나라에게 영토를 빼앗기며 쇠퇴했다. 이후 신릉군이 활약했지만, 진나라의 압박으로 영토가 축소되었고, 기원전 225년 진나라의 공격으로 수도 대량이 함락되어 멸망했다. 위나라는 이회와 서문표의 정치, 법가 사상의 발달로 유명하며, 역대 군주로는 위 문후, 위 무후, 위 혜왕 등이 있다.
위(魏)나라는 주 무왕의 동생인 필공 고를 시조로 한다. 춘추 시대에 필공 고의 후손인 필만이 진나라에 필나라를 바치고, 진 헌공 아래에서 공을 세워 위(魏)나라를 하사받았다. 이후 위씨 가문은 위주 때부터 세력을 키워, 춘추시대 말기 위서 때는 진나라의 육경(六卿)이 되었다. 기원전 453년 위구가 지씨(智氏)를 멸망시켰고, 그의 손자 위 문후 때에 주나라 왕에게 제후로 임명되어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진나라 영토를 삼등분했다.[1]
주나라 봉건제 하에서 정치는 덕(德)의 이념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러나 전국시대 집권국가가 되자, 덕의 이념은 힘에 의한 법술(法術)에 권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위(전국)의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2. 역사
기원전 445년 위 문후는 이극, 서문표, 오기, 악양 등을 등용하여 위나라를 칠웅 중 최강 국가로 만들었다.[4] 기원전 403년 위나라는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제후로 임명되며 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396년 문후 사후 아들 위 무후가 즉위했으나, 오기가 초나라로 망명했다. 무후는 뛰어난 군주였지만, 주변에 약한 세력이 없어 전쟁이 계속되며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었다.[1]
기원전 370년 위 혜왕은 동쪽 정복에 집중했으나, 기원전 341년 마릉 전투에서 패배하고, 진나라는 상앙의 변법으로 강성해졌다. 기원전 340년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대패하여 황하 이서 지역을 잃고, 수도를 안읍에서 대량(현재의 카이펑)으로 옮겼다. 이후 양나라(梁)로도 불렸다.[1]
이후 범저가 진나라에서 원교근공책을 시행하며 위나라를 압박했다. 기원전 247년 위무기가 육국 연합군을 이끌고 진나라를 물리쳤으나, 신릉군 사후 위나라는 진나라에 저항하지 못하고 영토가 축소되었다. 기원전 225년 진나라의 수공으로 수도 대량성이 함락되며 위나라는 멸망했다.[1]
2. 1. 건국 이전
위나라의 시조는 주 무왕(周武王)의 동생인 필공 고(畢公高)이다. 아버지 주 문왕을 비롯한 주나라 역대 군주들이 묻혀 있는 왕릉이 있는 곳이 필나라였고, 그곳을 무왕의 아우 고(高)가 필나라의 제후로 봉해졌다. 필공이라고 불린다. 춘추 시대에는 필공 고의 후손인 필만(畢萬)이 필나라를 진나라(晉)에게 바쳤다. 이후 진나라로 가서 필만의 일족을 이끌고 정착한 곳이 진나라 공족(公族) 환숙이 다스렸던 곡옥(曲沃)이었고, 환숙의 손자인 무공(武公)이 필만을 등용하였고, 필만은 무공의 신하가 된다. 헌공(獻公)의 밑에서 군공을 세웠고, 위나라(魏)를 헌공에게 하사받고, 이후 필만은 위만(魏萬)이라는 호칭으로 불리게 되었다.[1]
그 후 위씨 가문은 필만의 손자 위주(魏犨) 때부터 서서히 진나라 내부에 세력을 갖게 되었고, 춘추시대 말기 위서(魏舒) 때는 진나라의 육경(六卿)이 되었다. 기원전 453년 위구(魏駒)가 진나라 육경 중에 하나인 지씨(智氏)를 멸망시켰다. 후에 그의 손자 문후(文侯) 때에 주나라 왕에게 제후로 임명되었고, 한나라(韓), 조나라(趙)와 함께 진나라 영토를 삼등분으로 갈랐다.[1]
2. 2. 건국과 발전
기원전 445년 위 문후가 위씨 종주가 되면서 이극, 서문표, 오기, 악양 등을 등용하여 주변국보다 위나라의 국력이 강성하게 되어 칠웅 중 최강 국가가 되었다.[4] 기원전 403년 위나라는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주나라 왕에게서 제후로 임명되었고, 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396년 문후가 사망하고, 아들 위 무후가 위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무후가 싫어하던 하서태수(河西太守) 오기가 초나라(楚)로 망명하였다. 무후는 뛰어난 군주라서 오기가 없어도 국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나라 주변에는 무혈입성으로 위나라를 확장할 수 있는 약한 세력이 없었고, 위나라는 강력한 나라만 공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전쟁이 끊임없이 계속되었고,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370년 무후가 사망하고, 아들 위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은 서쪽의 진나라가 약하고 그 땅이 황폐하다고 여겼다. 그는 잘 정착된 동쪽 땅을 정복하는 데 집중했는데, 그곳은 알려진 자원이 더 풍부했지만, 기원전 341년 마릉 전투를 포함한 일련의 전투에서 위나라의 야망이 꺾인 반면 진나라의 팽창은 거의 방해받지 않아 경제와 군사력이 증강되었다. 혜왕은 황허 강 유역의 관개 사업과 이회가 제안한 법가 개혁 등 경제 개발에 집중했다. 혜왕이 다스릴 때는 제나라의 장수 손빈이 공격해오자, 태자 신(太子申)과 장수 방연을 보내었고, 마릉 전투에서 위나라군은 제나라군에게 대패를 하였다. 그리고 공숙좌의 건의로 내친 상앙이 진나라(秦)로 갔고, 진나라는 상앙을 등용하여, 상앙의 변법을 시행하여 진나라의 국력이 강해졌다. 기원전 340년 상앙이 이끄는 진나라군에게 대패하여 황하 이서 지역을 잃었고, 진나라를 두려워하며, 수도를 안읍(安邑)에서 동쪽 지역인 대량(大梁, 현재의 카이펑)으로 천도하였다. 대량으로 천도한 이후는 별칭인 양나라(梁)로 대신 불렸다. 여기서 문후가 패자가 된 이후에 유지하였던 패자의 자리에서 내려갔다.
그 후에는 위나라의 재상 위제(魏濟)가 과거에 모욕하였던 식객인 범저(范雎)가 진나라로 망명하였고, 범저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를 시행할 것을 요구하였고, 범저가 진나라 신하로 등용되자, 진나라가 위나라에게 압박하며, 위나라는 상앙처럼 범저를 중용하지 않아서, 진나라에게 시달림을 당했다.
그러나 위공자(魏公子) 위무기가 기원전 247년에 육국(六國)의 연합군을 이끌고, 진나라 군을 물리쳤다. 후에 신릉군으로 봉작을 받고, 전국시대의 사공자에 꼽힐 만큼 거물이 된 신릉군은 명성을 얻었다. 그 후에 멋대로 위나라 군대를 함부로 움직였다고 규탄을 받고서 조나라에 도망을 쳤다. 후에 위나라에 소환되어도 위나라의 높은 관리가 되는 것을 멀리하고 술을 많이 마시고, 술에 인해서 사망하였다. 신릉군이 사망하고는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저항을 못하고 위나라는 차례로 영토가 축소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225년 결국 진나라가 공격했고 진나라 군대의 수공으로 수도 대량성이 침수당하면서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멸망당하게 된다.
2. 3. 쇠퇴와 멸망
기원전 396년 위 문후가 사망하였고, 아들 위 무후가 위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하지만 무후가 싫어하던 하서태수(河西太守) 오기가 초나라(楚)로 망명한다. 그러나 무후는 뛰어난 군주라서 오기가 없어도 국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전보다 나라 주변에는 무혈입성으로 위나라를 확장할 수 없는 약한 세력이 없었고, 위나라는 강력한 나라만 공격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전쟁이 끊임없이 계속되었고,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1]
기원전 370년 무후가 사망하였고, 아들 위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이 다스릴 때는 제나라의 장수 손빈(孫臏)이 공격해오자, 태자 신(太子申)과 장수 방연(龐涓)을 보내었고, 마릉 전투에서 위나라군은 제나라군에게 대패를 하였다. 그리고 공숙좌(公叔座)의 건의로 내친 상앙이 진나라(秦)로 갔고, 진나라는 상앙을 등용하여, 상앙의 변법을 시행하여 진나라의 국력을 강화했다. 기원전 340년 상앙이 이끄는 진나라군에게 대패하여 황하 이서 지역을 잃었고, 진나라를 두려워하며, 수도를 안읍(安邑)에서 동쪽 지역인 대량(大梁, 현재의 카이펑(開封))으로 천도하였다. 대량으로 천도한 이후는 별칭인 양나라(梁)로 대신 불렸다. 이로써 위나라는 문후가 패자가 된 이후에 유지하였던 패자의 자리에서 내려갔다.[1]
그 후에는 위나라의 재상 위제(魏濟)가 과거에 모욕하였던 식객인 범저가 진나라로 망명하였고, 범저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시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범저가 진나라 신하로 등용되자, 진나라가 위나라에게 압박하며, 위나라는 상앙처럼 범저를 중용하지 않아서, 진나라에게 시달림을 당했다.[1]
그러나 위공자(魏公子) 위무기(魏無忌)가 기원전 247년에 육국(六國)의 연합군을 이끌고, 진나라 군을 물리쳤다. 후에 신릉군(信陵君)으로 봉작을 받고, 전국시대의 사공자(四公子)에 꼽힐 만큼 거물이 된 신릉군은 명성을 얻었다. 그 후에 멋대로 위나라 군대를 함부로 움직였다고 규탄을 받고서 조나라에 도망을 쳤다. 후에 위나라에 소환되어도 위나라의 높은 관리가 되는 것을 멀리하고 술을 많이 마시고, 술에 인해서 사망하였다. 신릉군이 사망하고는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저항을 못하고 차례로 영토가 축소되었다. 기원전 225년 결국 진나라가 공격했고 진나라 군대의 수공으로 수도 대량성이 침수당하면서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멸망당하게 된다.[1]
위는 결국 서쪽 하서 지역을 잃었는데, 이곳은 현대 산시성과 산시성의 경계 사이의 황허 강 서쪽 기슭에 위치한 전략적인 목초지였다. 그 후 위는 지속적으로 진나라와 전쟁을 벌였고, 수도를 안이에서 다량으로 이전해야 했다.[1]
3. 정치
이는 현실적으로 부국강병 정책으로 나타났고, 법률이 그 수단으로 등장했다. 위나라는 전국 초기 이러한 새로운 이념의 연구와 실천의 중심지였다. 변법(變法) 운동의 선구자 이회, 관개사업에서 서문표(西門豹)의 활약이 대표적이다. 문후(文侯)는 이회를 등용하여 새로운 경제정책을 실시하고, 토지제도와 농업기술 개혁을 단행하여 다른 열국(列國) 중에서 가장 먼저 부국강병의 길을 열었다.[1] 이회는 『법경(法經)』이라는 새로운 법률서를 만든 법률학자이기도 했다.[1]
문후(文侯)의 인재 등용, 관개사업 추진으로 위나라는 다른 6국보다 앞선 세력을 얻었고, 수도 안읍은 전국 초기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4]
4. 역대 군주
대수 시호 휘 재위 기간 비고 1 문후 사(斯) 또는 도(都) 기원전 445년–기원전 396년 2 무후 격(擊) 기원전 396년–기원전 370년 문후의 아들 3 혜왕 영(罃) 기원전 370년–기원전 319년 무후의 아들[5] 4 양왕 사(嗣) 또는 혁(赫) 기원전 319년–기원전 296년 혜왕의 아들 5 소왕 척(遫) 기원전 296년–기원전 277년 양왕의 아들 6 안희왕 여(圉) 기원전 277년–기원전 243년 소왕의 아들 7 경민왕 증(增) 또는 오(午) 기원전 243년–기원전 228년 안희왕의 아들 8 가왕 가(假) 기원전 228년–기원전 225년 경민왕의 아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통치자 목록은 약간 다르다. 혜왕은 기원전 335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양왕이 기원전 334년에 즉위했다. 양왕은 기원전 319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애왕(哀王)이 뒤를 이었으며, 그는 기원전 296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소왕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자들과 평론가들은 휘가 기록되지 않은 애왕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본다. 사마천은 혜왕의 통치 후반부(기원전 334년 시작)를 그의 아들 양왕에게 할당하고, 기원전 319년과 296년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애왕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소수의 학자들은 애왕이 실제로 존재했다고 믿는다.
4. 1. 삼진 분립 전의 위씨종주(魏氏宗主)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 | 무자 | 주(犨) | ? ~ 기원전 594년경 | 필만의 손자이자 망계(芒季)의 아들. |
2 | 도자 | ? | 무자의 아들. | |
3 | 소자[13] | 강(絳) | ? ~ 기원전 550년경 | 무자의 아들. |
4 | 헌자 | 서(舒)[14] | 소자의 아들. | |
5 | 간자 | 취(取) | 헌자의 아들. | |
6 | 양자 | 치(侈)[15] | 기원전 508년 ~ 기원전 482년 | 간자의 아들. |
7 | 환자 | 구(駒) | ? ~ 기원전 446년 | 양자의 아들. |
4. 2. 삼진 분립 후의 위나라 군주
기원전 445년 문후가 위씨 종주가 되면서 이극, 서문표와 오기, 악양 등의 신하들을 등용하여 위나라의 국력이 강성하게 되어 칠웅 중 최강 국가가 되었다. 기원전 403년 위나라는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주나라 왕에게 제후로 임명되었고, 전국시대의 서막이 시작되었다.기원전 396년 문후가 사망하였고, 아들 무후가 위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싫어하던 하서태수(河西太守) 오기가 초나라(楚)로 망명했다. 무후는 뛰어난 군주라서 오기가 없어도 국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전보다 나라 주변에는 무혈입성으로 위나라를 확장할 수 없는 약한 세력이 없었고, 위나라는 강력한 나라만 공격을 할 수 없어 전쟁이 끊임없이 계속되었고,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370년 무후가 사망하였고, 아들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이 다스릴 때 제나라의 장수 손빈이 공격해오자, 태자 신(太子申)과 장수 방연을 보내 마릉 전투에서 위나라군은 제나라군에게 대패하였다. 공숙좌의 건의로 내친 상앙이 진나라(秦)로 갔고, 진나라는 상앙을 등용하여 상앙의 변법을 시행하여 국력이 강해졌다. 기원전 340년 상앙이 이끄는 진나라군에게 대패하여 황하 이서 지역을 잃었고, 진나라를 두려워하며 수도를 안읍(安邑)에서 동쪽 지역인 대량(大梁, 현재의 카이펑)으로 천도하였다. 대량으로 천도한 이후는 별칭인 양나라(梁)로 대신 불렸다. 문후가 패자가 된 이후에 유지하였던 패자의 자리에서 내려갔다.
그 후에는 위나라의 재상 위제(魏濟)가 과거에 모욕하였던 식객인 범저가 진나라로 망명하였고, 범저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시행할 것을 요구하였고, 범저가 진나라 신하로 등용되자, 진나라가 위나라에게 압박하며, 위나라는 상앙처럼 범저를 중용하지 않아서, 진나라에게 시달림을 당했다.
그러나 위공자(魏公子) 위무기가 기원전 247년에 육국(六國)의 연합군을 이끌고, 진나라 군을 물리쳤다. 후에 신릉군으로 봉작을 받고, 전국시대의 사공자에 꼽힐 만큼 거물이 된 신릉군은 명성을 얻었다. 그 후에 멋대로 위나라 군대를 함부로 움직였다고 규탄을 받고서 조나라에 도망을 쳤다. 후에 위나라에 소환되어도 위나라의 높은 관리가 되는 것을 멀리하고 술을 많이 마시고, 술에 인해서 사망하였다. 신릉군이 사망하고는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저항을 못하고 차례로 영토가 축소되었다. 기원전 225년 결국 진나라가 공격했고 진나라 군대의 수공으로 수도 대량성이 침수당하면서 위나라는 진나라에게 멸망당하게 된다.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 | 문후 | 사(斯) | 기원전 425년 ~ 기원전 387년 | |
2 | 무후 | 격(擊) | 기원전 387년 ~ 기원전 371년 | |
3 | 혜왕 | 앵(罃) | 기원전 370년 ~ 기원전 334년 | |
4 | 양왕 | 사(嗣) | 기원전 334년 ~ 기원전 318년 | |
5 | 애왕 | 기원전 318년 ~ 기원전 295년 | ||
6 | 소왕 | 속(遬) | 기원전 295년 ~ 기원전 277년 | |
7 | 안리왕 | 어(圉) | 기원전 277년 ~ 기원전 243년 | |
8 | 경민왕 | 오(午) | 기원전 243년 ~ 기원전 228년 | |
9 | 가 | 가(假) | 기원전 228년 ~ 기원전 225년 |
5. 주요 인물
이름 | 설명 |
---|---|
이회 | 법가 철학자이자 재상.[1] |
악양 | 악의의 조상이며 중산국의 재상.[1] |
방연 | 제나라 맹상군과 손빈에게 마릉 전투에서 패배한 명장.[1] |
공숙좌 | |
신원연 | |
진비 | |
망묘 | |
위경 | |
공손희 | |
임장 | |
적황 | |
전수 | |
혜시 | |
공손연 | |
장의 | |
적강 | |
위제 | |
범좌 | |
공빈 | |
손신 | |
안은 | |
수고 | |
축고 | |
후영 | |
경영 | |
신릉군 | 전국 사군에 꼽힐 정도의 걸출한 인물.[11] |
단간숭 | |
주해 |
6. 문화
전국책에 따르면 위나라의 한 왕은 동성 연인인 용양군과 함께 낚시를 즐겼다. 어느 날, 용양군은 울기 시작했다. 그 이유를 묻자 용양군은 물고기를 대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미래를 보았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물고기를 잡는 것을 기뻐했지만, 더 좋은 물고기를 잡으면 잡았던 물고기를 다시 놓아주고 싶어했다. 그는 울면서 "저도 전에 잡힌 물고기와 같습니다! 저 역시 버려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용양군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기 위해 왕은 "다른 미녀에 대해 감히 말하는 자는 그 일가족과 함께 처형할 것이다"라고 선언했다.[6]
중국 천문학에서 위(衛)는 "12주(十二州)"에 속한 별자리로, 28수의 "여수(女宿)"에 속하며, 현무(玄武) 사상에 속한 별 하나와 천시원(天市垣)의 "좌벽(左壁)"에 속한 별 하나로 표현된다. 그러나 출처에 따라 이 두 별이 각각 33 염소자리[7]와 델타 헤르쿨레스자리[8]인지, 아니면 카이 염소자리와 피 염소자리[9]인지에 차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ei
http://www.dictionar[...]
[2]
서적
Introduction to the Urba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7-25
[3]
서적
Social memory and state formation in early China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
간행물
The Scribal Witness: Narrative authority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9
[5]
서적
Mencius: A New Translation Arranged and Annotated For The General Rea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3-12-15
[6]
서적
Passions of the Cut Sleev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7]
웹사이트
Ian Ridpath's Startales – Capricornus the Sea Goat
http://www.ianridpat[...]
[8]
웹사이트
天文教育資訊網
http://aeea.nmns.edu[...]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2006-06-23
[9]
웹사이트
Star Names – R.H.Allen p.142
https://penelope.uch[...]
[10]
문서
上が每、下が山
[11]
문서
代は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12]
문서
《중산기명문보석中山器銘文補釋》 등을 참고하라. 위나라의 국호는 진나라 (춘추시대)|진나라 계열의 문자로는 “𫵾”로, 초 (춘추 전국)|초나라 계열의 문자로는 가차하여 "𩲈"나(칭화 대학》 계년系年》) "[畏阝]"로(包山簡), 진나라 문자로는 가차하여 "巍"로 적었다.
[13]
문서
또는 장자(莊子)
[14]
문서
또는 도(荼)
[15]
문서
또는 치(哆) 또는 만다(曼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